빈그룹 총수 일가가 뇌물 혐의로 전격 체포
베트남 시총 1위 빈그룹에 무슨일이?…국내 베트남 투자자들 촉각
베트남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베트남의 삼성이라 불리는 ‘빈그룹’에 국내 투자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빈그룹 총수 일가가 뇌물 혐의로 전격 체포되면서 베트남 주식 시장의 위험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어서다.
22일 베트남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13일 베트남 공안은 빈그룹 총수의 친동생 ‘캄 낫 부’를 정부공직자에게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전격 체포했다.
현지 민간 위성방송 업체인 AVG의 회장이었던 캄 낫 부는 국영 이동통신사인 모비폰(Mobifone)의 인수합병(M&A)과정에서 정부 관계자 등에게 뇌물을 공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호치민 증권거래소(HOSE)에 따르면 빈그룹의 시가총액은 347조동(약 17조원·22일 기준)으로 베트남 주식 시장의 11.02%를 차지하고 있다.
자회사인 ‘빈그룹홈(시총 2위, 약14조원)과 빈컴리테일(시총 11위, 약 4조원)까지 더하면 전체 주식 시장 중 빈그룹사의 비중은 23%에 달한다.
이달 초 SK그룹은 빈그룹에 10억달러(약 1조13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베트남 현지 투자자들과 베트남에 투자한 국내 투자업계 등은 빈그룹을 둘러싼 수사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AVG 인수 당시 주관사인 VCSC증권사의 실질적인 주인이 2016년 4월까지 베트남 총리를 지낸 ‘응웬 떤 중’의 친 딸 ‘응웬 탄 푸옹’이라는 이야기가 파다해서다.
지난 2월 중순부터 주당 10만동(5000원)대에서 12만동(6000원)대로 상승곡선을 그리던 빈그룹주가는 체포소식이 전해진 지난 13일 이후 약보합세를 보였다.
베트남 현지의 투자업계 관계자는 “캄 낫 부가 체포소식이 빈그룹에 대한 전반적인 리스크가 될 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체포로 끝나면 다행이지만 빈그룹이 베트남판 적폐청산에 휘말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라고 말했다.
당장 주식에 큰 영향은 없더라도 공산당 하에서 장기적으로는 빈그룹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선 자칫 중국 ‘완다그룹’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완다그룹의 자회사인 완다시네마는 2016년까지 미국 AMC를 시작으로 굵직한 글로벌 영화사들을 차례로 인수하며 몸집을 불렸다.
하지만 당시 중국 당국이 각 은행에 기업들의 해외 인수합병 자금 리스크를 조사하라고 지시하면서 급격한 주가하락을 겪었다.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은 공산당 내 권력 암투 과정에서 밀려난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와 각별한 관계라고 알려졌다.
한 국내 자산운용사 대표는 “전 총리까지 언급되면서 빈그룹과 특정 정치세력의 관계로 수사가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며 “빈그룹 주가 자체는 관리를 잘하고 있지만 예상못할 리스크인 건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베트남의 삼성이라 불리는 ‘빈그룹’에 국내 투자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빈그룹 총수 일가가 뇌물 혐의로 전격 체포되면서 베트남 주식 시장의 위험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어서다.
22일 베트남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13일 베트남 공안은 빈그룹 총수의 친동생 ‘캄 낫 부’를 정부공직자에게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전격 체포했다.
현지 민간 위성방송 업체인 AVG의 회장이었던 캄 낫 부는 국영 이동통신사인 모비폰(Mobifone)의 인수합병(M&A)과정에서 정부 관계자 등에게 뇌물을 공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호치민 증권거래소(HOSE)에 따르면 빈그룹의 시가총액은 347조동(약 17조원·22일 기준)으로 베트남 주식 시장의 11.02%를 차지하고 있다.
자회사인 ‘빈그룹홈(시총 2위, 약14조원)과 빈컴리테일(시총 11위, 약 4조원)까지 더하면 전체 주식 시장 중 빈그룹사의 비중은 23%에 달한다.
이달 초 SK그룹은 빈그룹에 10억달러(약 1조13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베트남 현지 투자자들과 베트남에 투자한 국내 투자업계 등은 빈그룹을 둘러싼 수사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AVG 인수 당시 주관사인 VCSC증권사의 실질적인 주인이 2016년 4월까지 베트남 총리를 지낸 ‘응웬 떤 중’의 친 딸 ‘응웬 탄 푸옹’이라는 이야기가 파다해서다.
지난 2월 중순부터 주당 10만동(5000원)대에서 12만동(6000원)대로 상승곡선을 그리던 빈그룹주가는 체포소식이 전해진 지난 13일 이후 약보합세를 보였다.
베트남 현지의 투자업계 관계자는 “캄 낫 부가 체포소식이 빈그룹에 대한 전반적인 리스크가 될 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체포로 끝나면 다행이지만 빈그룹이 베트남판 적폐청산에 휘말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라고 말했다.
당장 주식에 큰 영향은 없더라도 공산당 하에서 장기적으로는 빈그룹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선 자칫 중국 ‘완다그룹’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완다그룹의 자회사인 완다시네마는 2016년까지 미국 AMC를 시작으로 굵직한 글로벌 영화사들을 차례로 인수하며 몸집을 불렸다.
하지만 당시 중국 당국이 각 은행에 기업들의 해외 인수합병 자금 리스크를 조사하라고 지시하면서 급격한 주가하락을 겪었다.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은 공산당 내 권력 암투 과정에서 밀려난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와 각별한 관계라고 알려졌다.
한 국내 자산운용사 대표는 “전 총리까지 언급되면서 빈그룹과 특정 정치세력의 관계로 수사가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며 “빈그룹 주가 자체는 관리를 잘하고 있지만 예상못할 리스크인 건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