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가이드 메꾸기 갑질에 못살겠다
해외 가이드 “하나투어 도 넘는 ‘메꾸기 갑질’에 굶어 죽는다”
“하나투어가 고객에게 저가 ‘패키지여행’ 상품을 팔 동안, 우리는 제대로 된 비용을 못 받아 굶어 죽고 있습니다”
태국, 베트남 등에서 활동하는 한인 가이드들이 국내 여행사의 도가 지나친 ‘메꾸기’ 때문에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메꾸기는 말 그대로 고객의 여행 경비 중 부족한 금액을 현지 가이드가 메꿔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국내 여행 업계 1위인 하나투어를 비롯해 모두투어 등의 여행사가 서로 경쟁하듯 초저가 패키지여행 상품을 내놓고 있다. 문제는 이 초저가 패키지여행 상품에는 소위 ‘지상비’라 불리는 호텔비, 식대, 차량, 현지 가이드 비용 등이 정가로 책정된 게 아니라는 것이다. 때문에 가이드들은 손님을 받을수록 적자를 보는 구조다. 그런데도 가이드들은 국내 여행사의 ‘보복’이 두려워 울며 겨자 먹기로 손님을 받고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결국 한인 가이드들은 노조를 결성한 뒤 한국노총에 가입해 한국통역가이드연합본부를 설립하고 국내 여행사를 상대로 임금 개선 요구를 해오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기업으로 하나투어를 지목, 각종 사례를 제시하며 갑질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투어는 이 같은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어 해외 가이드에 대한 착취 논란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가이드노조 “갑질 때문에 무료봉사하는 상황”
태국에서 통역 가이드로 일하는 노동자 200여 명은 지난 6월 30일 노동기본권 및 실질임금 쟁취를 위해 한국통역가이드노조(이하 가이드노조)를 결성한 뒤 지난달 7일 한국노총에 가입해 한국통역가이드연합본부를 설립했다.
현재 가이드노조는 ▲지상비 지급 ▲메꾸기 금액 축소 ▲가이드 팁 정상화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노동시간 보장 및 초과근무수당 인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대형 여행사들이 판매하는 저가 패키지상품은 왕복 항공권 정도의 금액만 책정됐을 뿐 현지에서 들어가는 숙박 등의 지상비가 제대로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박리다매식인 저가 패키지상품의 이익은 여행사에만 고스란히 돌아가고, 그들이 판매한 티켓으로 여행 온 손님을 응대하는 가이드 노동자들은 정작 지상비를 메꿔야 해 되레 적자가 나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가이드노조는 하나투어를 비롯한 대형 여행사에 위와 같은 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하나투어에서 지난 1998년부터 20년가량 태국에서 가이드로 일한 해외통역가이드노조 박인규(48) 본부장은 <투데이신문>과의 통화에서 “한국 대형여행사에서 저가 패키지 상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근데 그 상품들은 ‘지상비’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라 가이드들은 무료봉사를 하고 있다”고 25일 주장했다.
하나투어 홈페이지에서 3박 5일 기준 태국 방콕‧파타야 관련 패키지 상품을 검색하면 항공사와 옵션에 따라 최저가 38만9000원부터 최고가 160만2900원까지 다양한 상품이 나온다. 옵션과 가격이 각양각색임에도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 바로 불포함 내역의 가이드‧기사 경비 항목이다.
하나투어는 고객에게 패키지여행 상품을 판매할 때 가이드와 기사 경비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안내하면서 고객에게 인당 USD 40~50(한화 약 4만5400원~5만6800원)으로 책정된 ‘팁’을 가이드와 기사에게 지급하라고 고지한다.
하지만 막상 가이드들은 이 금액마저 제대로 가져가지 못하고 메꾸기에 사용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애초에 국내 대형 여행사에서 지상비를 한 푼도 안 주거나, 주더라도 30% 정도만 지급하기에 손님을 받고 관광을 하면서 생긴 70~100%가량의 적자를 메꾸기 급급하다는 게 가이드노조 측의 설명이다. 결국, 손님에게 받은 팁은 손님을 받으므로 하여금 생긴 적자를 막는 데 사용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메꿔야만 한다’는 구조 때문에 한 가이드는 5개월간 20팀을 받았지만, 구멍 난 금액을 메꾸지 못해 급여를 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가이드 목을 조르는 ‘메꾸기’의 악순환
이 같은 악순환이 끔찍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최근 베트남 다낭에서 20년가량 가이드로 일했던 A씨(48)는 생활고를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전해졌다. A씨의 지인에 따르면 A씨는 돈을 벌지 못해 주변에 밥값과 방값을 자주 빌렸다.
박 본부장은 “손님 1인 당 30만원가량 적자가 난다. 평균 25명이 한 팀인데, 한 팀을 받으면 750만원 정도를 메꿔야 한다. 그렇게 10팀을 받으면 그중 2~3팀에서 쇼핑이나 선택 관광 등으로 이윤이 난다. 하지만 이윤이 나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라고 말했다.
즉, 현지 여행사와 가이드들이 수익을 내는 방법은 사전에 연결된 쇼핑센터와 선택 관광지에서 나오는 수수료가 전부인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일부 손님들이 선택 관광과 쇼핑을 잘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상황이 녹록지만은 않다.
“하나투어가 고객에게 저가 ‘패키지여행’ 상품을 팔 동안, 우리는 제대로 된 비용을 못 받아 굶어 죽고 있습니다”
태국, 베트남 등에서 활동하는 한인 가이드들이 국내 여행사의 도가 지나친 ‘메꾸기’ 때문에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메꾸기는 말 그대로 고객의 여행 경비 중 부족한 금액을 현지 가이드가 메꿔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국내 여행 업계 1위인 하나투어를 비롯해 모두투어 등의 여행사가 서로 경쟁하듯 초저가 패키지여행 상품을 내놓고 있다. 문제는 이 초저가 패키지여행 상품에는 소위 ‘지상비’라 불리는 호텔비, 식대, 차량, 현지 가이드 비용 등이 정가로 책정된 게 아니라는 것이다. 때문에 가이드들은 손님을 받을수록 적자를 보는 구조다. 그런데도 가이드들은 국내 여행사의 ‘보복’이 두려워 울며 겨자 먹기로 손님을 받고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결국 한인 가이드들은 노조를 결성한 뒤 한국노총에 가입해 한국통역가이드연합본부를 설립하고 국내 여행사를 상대로 임금 개선 요구를 해오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기업으로 하나투어를 지목, 각종 사례를 제시하며 갑질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투어는 이 같은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어 해외 가이드에 대한 착취 논란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가이드노조 “갑질 때문에 무료봉사하는 상황”
태국에서 통역 가이드로 일하는 노동자 200여 명은 지난 6월 30일 노동기본권 및 실질임금 쟁취를 위해 한국통역가이드노조(이하 가이드노조)를 결성한 뒤 지난달 7일 한국노총에 가입해 한국통역가이드연합본부를 설립했다.
현재 가이드노조는 ▲지상비 지급 ▲메꾸기 금액 축소 ▲가이드 팁 정상화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노동시간 보장 및 초과근무수당 인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대형 여행사들이 판매하는 저가 패키지상품은 왕복 항공권 정도의 금액만 책정됐을 뿐 현지에서 들어가는 숙박 등의 지상비가 제대로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박리다매식인 저가 패키지상품의 이익은 여행사에만 고스란히 돌아가고, 그들이 판매한 티켓으로 여행 온 손님을 응대하는 가이드 노동자들은 정작 지상비를 메꿔야 해 되레 적자가 나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가이드노조는 하나투어를 비롯한 대형 여행사에 위와 같은 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하나투어에서 지난 1998년부터 20년가량 태국에서 가이드로 일한 해외통역가이드노조 박인규(48) 본부장은 <투데이신문>과의 통화에서 “한국 대형여행사에서 저가 패키지 상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근데 그 상품들은 ‘지상비’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라 가이드들은 무료봉사를 하고 있다”고 25일 주장했다.
하나투어 홈페이지에서 3박 5일 기준 태국 방콕‧파타야 관련 패키지 상품을 검색하면 항공사와 옵션에 따라 최저가 38만9000원부터 최고가 160만2900원까지 다양한 상품이 나온다. 옵션과 가격이 각양각색임에도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 바로 불포함 내역의 가이드‧기사 경비 항목이다.
하나투어는 고객에게 패키지여행 상품을 판매할 때 가이드와 기사 경비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안내하면서 고객에게 인당 USD 40~50(한화 약 4만5400원~5만6800원)으로 책정된 ‘팁’을 가이드와 기사에게 지급하라고 고지한다.
하지만 막상 가이드들은 이 금액마저 제대로 가져가지 못하고 메꾸기에 사용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애초에 국내 대형 여행사에서 지상비를 한 푼도 안 주거나, 주더라도 30% 정도만 지급하기에 손님을 받고 관광을 하면서 생긴 70~100%가량의 적자를 메꾸기 급급하다는 게 가이드노조 측의 설명이다. 결국, 손님에게 받은 팁은 손님을 받으므로 하여금 생긴 적자를 막는 데 사용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메꿔야만 한다’는 구조 때문에 한 가이드는 5개월간 20팀을 받았지만, 구멍 난 금액을 메꾸지 못해 급여를 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가이드 목을 조르는 ‘메꾸기’의 악순환
이 같은 악순환이 끔찍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최근 베트남 다낭에서 20년가량 가이드로 일했던 A씨(48)는 생활고를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전해졌다. A씨의 지인에 따르면 A씨는 돈을 벌지 못해 주변에 밥값과 방값을 자주 빌렸다.
박 본부장은 “손님 1인 당 30만원가량 적자가 난다. 평균 25명이 한 팀인데, 한 팀을 받으면 750만원 정도를 메꿔야 한다. 그렇게 10팀을 받으면 그중 2~3팀에서 쇼핑이나 선택 관광 등으로 이윤이 난다. 하지만 이윤이 나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라고 말했다.
즉, 현지 여행사와 가이드들이 수익을 내는 방법은 사전에 연결된 쇼핑센터와 선택 관광지에서 나오는 수수료가 전부인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일부 손님들이 선택 관광과 쇼핑을 잘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상황이 녹록지만은 않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