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Ads

베트남, 동아시아 블록체인 허브 될 수 있다

AI, IoT, 등 대비 기술 진입장벽 낮은 블록체인

낮은 인건비, 외국 기업 친화적 정책기조 강점

현 정부의 신남방정책과도 시너지… 한-베트남 '블록체인 특구' 형성



베트남이 동아시아 시장의 새로운 블록체인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록체인의 경우 비교적 신기술이기 때문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다른 4차산업 주요 기술 대비 기술적 진입장벽이 낮은 데다,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개방 정책이 결합하면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



다음달 1일부터 베트남에서는 개정된 기술이전법(LTT)이 발효된다. 과학·기술 개발 진흥 국가 프로그램과 이를 뒷받침하는 법 체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 기술 이전은 진전이 더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방편이다.

그동안 진행된 기술이전은 대부분 외국계 기업들이 베트남에 지사를 설립하며 자연스럽게 이행되거나 베트남 투자자들이 외국에서 기계 및 생산시설을 들여올 때 병행되는 수준에 그쳤다.

개정 LTT를 두고 김경환 성균관대 글로벌창업대학원 교수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산업기술에 대한 기술 이전을 본격 확대하기 위한 방침을 세운 것"이라고 평했다.



이 같은 기조에 맞춰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은 블록체인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 2008년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기술인만큼 상대적으로 기존 연구 역량에 좌우되지 않는 점이 고려됐기 때문이다.

아시아경제와 베트남 후에성, 한국산업클러스터학회가 21일 후에성에서 공동 개최한 '4차산업혁명과 한국&베트남 클러스터 혁신포럼'에서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교수는 "AI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의 경우 이미 선두주자와 후발주자의 격차가 무척 크고, 일정 수준의 인프라가 마련돼 있지 않으면 연구개발이 어렵다"라며 "아직 이렇다할 선두주자가 없는데다 특별한 시설과 장비를 요구하지 않아 베트남도 블록체인으로 충분히 승부수를 던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싱가포르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필수요소로 꼽히는 가상통화공개(ICO)의 허브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한 발 늦었다는 반론도 있다.

싱가포르는 통화청(MAS)이 일찌감치 ICO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는 등 발 빠르게 ICO를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며 스위스와 함께 ICO의 '성지'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ICO 금액, 인구 100만명당 ICO 숫자 모두 아시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당국의 확실한 가이드라인 제시로 규제 불확실성은 해소됐음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 현지인 의무고용, 법인세와 당국의 엄격한 관리 등에 따른 인건비, 임대료 등의 비용이 상당하다.

문 교수는 "외국자본유치와 기술이전에 친화적인 분위기와 낮은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베트남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라며 "국내에서는 ICO가 금지된 상황이지만 현 정부가 신 남방정책을 펼치며 베트남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베트남 간의 블록체인 특구를 마련한다면 싱가포르에서 베트남으로 ICO 중심지가 바뀔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의영 군산대 경제학과 교수는 베트남 지역에 블록체인 특구와 같은 혁신 생태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도로, 통신망, 전력 등 사회간접자본(SOC) 의 구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기초체력'을 강조한 셈이다.

이 교수는 최근 들어 관광 특구, 헬스케어 특구 등으로 혁신을 꾀하고 베트남 중부 후에성 지역을 예시로 들었다.

그는 "독자적인 도시 개발에 앞서 인근에 있는 다낭 국제 공항과의 접근성을 높이는 교통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최우선"이라며 "아무리 커다란 산업단지를 구축하고 숙박 시설 등을 구축하더라도 물리적인 접근성을 높이지 않으면 자생력을 갖추기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